올해 온열질환자 중 장애인 4.6% “약자에게만 가혹한 재난 불평등 멈춰야”
-서미화 의원 “폭염 등 기후재난에 취약한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대책 조속히 마련돼야-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는 가운데, 올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은 장애인 환자가 전체의 4.6%를 차지해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장애인을 고려한 맞춤형 폭염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미화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5월 15일부터 7월 13일까지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1,566명 가운데 72명(4.6%)이 장애인이었다.
연도별 장애인 온열질환 환자 비율은 ▲2022년 2.8%(43명), ▲2023년 2.1%(58명), ▲2024년 3.3%(124명), ▲2025년 4.6%(72명)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전년 대비 1.3%포인트 증가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온열질환으로 인한 장애인 사망자 비율도 전체 환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23년 6.3%(2명), ▲2024년 14.7%(5명), ▲2025년 현재까지 11.1%(1명)로 집계됐다.
장애유형별 온열질환 환자 수를 보면, ▲2022년에는 신체적 장애 18명, 정신적 장애 23명, ▲2023년 신체적 장애 29명, 정신적 장애 26명, 중복장애 3명, ▲2024년 신체적 장애 63명, 정신적 장애 60명, 중복장애 1명, ▲2025년 신체적 장애 37명, 정신적 장애 33명, 중복장애 2명이었다. 사망자의 경우, ▲2023년 정신적 장애 2명, ▲2024년 신체적 장애 4명과 정신적 장애 1명, ▲2025년에는 신체적 장애 1명이었다.
질병관리청은 2022년부터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에 장애 여부 확인 항목을 도입했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2024년까지 배포된 예방 매뉴얼에는 장애인에 대한 고려가 빠져 있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올해 7월부터 장애인을 포함한 대상자별 추가 매뉴얼을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미화 의원은 “폭염이 재난이 되어버린 상황에서 장애인용 매뉴얼조차 없다는 것은 명백한 불평등”이라며, “장애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폭염 대응 매뉴얼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