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학술논문을 통해 살펴본 장애인삶의 모습 (1)회복탄력성과 정서적 도움 및 지지가 장애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으 우울을 완화하는 핵심요인
장애발생 시기와 상관없이 우울을 감소시키는 개입 필요

장애인일자리신문은 장애인들의 삶에 있어 최고의 복지 혜택은 ‘일자리’라는 신념으로 시작됐다. 이 어려운 숙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장애인의 삶’이 어떤 모습인지 살펴볼 필요를 느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에서는 2018년부터 장애인삶 패널조사를 통해 장애발생 이후의 변화를 장기간추적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또한 2021년부터 연구자와 대학원생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이 데이터를 개방하여 180여편이 넘는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지난 10월 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장애인의삶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장애인일자리신문은 이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통해 장애인의 삶에 대한 학술적 의미의 모습들을 살펴보기로 한다.[편집자 주]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적·인지적 제약으로 인해 우울 등 정신건강 문제에 더 취약한 환경에 놓여 있다. 이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고용서비스정책학과 금창민 교수 연구팀은 장애인의 정서적 지지, 회복탄력성, 우울 간의 관계를 분석해 장애발생 시기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다.
연구질문으로 ‘장애인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적 도움 및 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 ‘정서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관계에서 장애발생시기의 조절효과가 유의한가?’’우울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적 도움 및 지지를 통한 장애발생시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가?’등을 살펴 보았다
연구팀은 ‘장애인의 삶 패널조사’ 제6차 자료를 바탕으로, 만 19세 이상 장애인 응답자 3,474명의 사례를 분석했다.
그결과 정서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장애인의 우울을 완화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됐다. 즉, 주변 사람들의 정서적 도움과 사회적 지지가 충분할수록 장애인은 스트레스를 더 잘 이겨내고, 우울감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정서적 지지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장애가 언제 발생했는지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창민 교수는 “장애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관계없이, 장애인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꾸준한 정서적·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며 “장애인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정서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장애인의 정신건강 문제를 개인의 특성보다 사회적 지원의 문제로 바라볼 필요성을 제시하며, 보다 포괄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정책의 방향을 시사하고 있다.
이날 토론을 진행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김원호 교수는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장애 발생 시기라는 시간적 변수를 투입하여 탐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만 장애 발생시기와 장애수용의 상관관계, 장애 정도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 연구가 학문적, 실천적으로 장애인 복지 현장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라며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