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올해 장애인의 디지털 활용 능력을 높이고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5,200명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4월부터 11월까지 약 8개월간 서울시내 7개 교육기관에서 실시된다.
서울시는 강서구 기쁜우리복지관 등 종합복지관 7곳을 교육기관으로 선정했으며, 수강생들의 수준에 맞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교육 과정은 PC교육(초·중·고급)과 모바일 교육으로 구성되며, 전액 무료로 운영된다. 특히, 스마트폰 및 모바일 앱 활용 교육이 전체의 65% 이상을 차지해 실생활에서 활용도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교육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이며,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일 거주지에 사는 직계 가족도 함께 수강할 수 있다. 교육 기간은 최대 8개월까지 가능하며, 신청을 원하는 장애인은 해당 교육기관에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지난 3년 동안 총 1만 8천 명의 수료생을 배출했으며, 이 중 170여 명이 자격증을 취득하거나 취업에 성공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예를 들어, 강북구에 거주하는 발달장애인 A씨는 서울시가 지원하는 성민복지관의 PC교육과정을 수료한 후 GTQ 3급 자격증을 취득하고, 고등학교 행정보조원으로 취업했다.
2024년 정보화 교육에는 5,000명 목표 대비 5,416명이 참여해 108%의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다. 참가자의 57%가 남성이었으며,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이 37%로 가장 많았고, 60대(26%), 20대 이하(20%)가 뒤를 이었다. 장애 유형별로는 시각장애인이 24%, 지적장애인이 19%를 차지해, 특히 시각장애인의 디지털 격차 해소에 대한 높은 수요가 확인됐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교육이 장애인들이 실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을 더욱 유용하게 활용하고, 경제·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