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 장애인의 사회 참여율이 남성 장애인뿐만 아니라 전체 여성보다도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통계 뉴스레터 ‘통계로 보는 여성 장애인’에 따르면, 15세 이상 여성 장애인의 고용률은 22.3%로, 남성 장애인(42.3%)보다 20%p 낮았다. 이는 전체 인구에서의 성별 고용률 차이(16%p)보다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장애인 내 성별 불균형이 더욱 심각한 수준임을 시사한다.
특히, 여성 장애인의 비정규직 비율은 82.8%에 달해 전체 여성(47.3%)보다 1.75배 높았으며, 남성 장애인(60.2%)과 비교해도 22.6%p 차이를 보였다. 월평균 임금 역시 여성 장애인은 117만 원으로, 남성 장애인(235만 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이는 전체 여성의 평균 임금(259만 원)과 비교해도 크게 낮은 수준이다.
고용뿐만 아니라 교육과 건강, 사회관계에서도 여성 장애인은 남성 장애인보다 더 어려운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 25~64세 여성 장애인의 고등교육 이수율은 21.7%로, 남성 장애인(25.8%)보다 낮았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좋다’고 응답한 비율도 여성(13.7%)이 남성(22.8%)보다 9.1%p 낮았다.
사회관계 면에서도 여성 장애인의 33.9%가 혼자 살고 있어 남성 장애인(21.2%)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여성 장애인의 59.8%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이 중 13.7%는 필요한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여성 장애인이 장애인으로서, 그리고 여성으로서 겪는 이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장애인 맞춤형 고용 지원 확대, 여성 장애인을 위한 직업교육 강화, 사회적 돌봄 시스템 보완 등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국장애인개발원 이경혜 원장은 “여성 장애인이 겪는 복합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며 “고용 확대와 소득 보장, 교육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여성 장애인의 사회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관련 기관이 여성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문제를 해결하고,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