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경계선지능인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경계선지능인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4월 7일부터 5월 6일까지 대상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청년재단과의 협업으로 진행되며, (재)부산광역시사회서비스원이 수행기관으로 참여해 경계선지능인이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경계선지능인이 사회에 원활히 융화되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사회생활 능력 향상과 경제활동 참여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사업 내용은 진단검사 지원과 자립 응원 사업으로 구성된다.
진단검사 지원은 교육청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아동·청소년 25명과 청년 40명 등 총 65명을 대상으로 간이검사를 통한 선별검사 후, 진단기관과 연계해 검사 비용을 실비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경계선지능인의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을 도모할 수 있다.
자립 응원 사업은 청년재단과 협업해 진행되며, 경계선지능청년 100명을 대상으로 소양교육, 직무훈련, 진로상담, 직장체험 등 3개월간 자립 교육이 제공된다. 이후 우수 참여자 20명에게는 2개월간 실제 직장 환경에서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직장 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자조모임을 운영해 서로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도 진행해 올바른 양육 방법과 경계선지능인에 대한 이해를 높일 계획이다.
지원 희망자는 부산사회서비스원 누리집(busan.pass.or.kr)의 ‘참여마당 > 지원사업 신청’ 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관련 문의는 부산사회서비스원 경계선지능인 담당자(051-861-8874)에게 하면 된다. 모집 인원이 미달될 경우 추가 모집도 진행된다. 선정된 대상자에게는 개별 안내가 이뤄질 예정이다.
경계선지능인은 일반적으로 지능지수(IQ) 71~84 사이의 사람을 말하며, 지적장애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평균 지능에 미치지 못해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기존의 취업 지원 시스템에서 소외되거나 충분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자립적인 경제활동이 어렵고 고립 또는 은둔 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실질적인 요구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경계선지능인을 위한 다양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태기 부산시 사회복지국장은 “경계선지능인들이 사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맞춤형 교육과 일 경험을 제공해 이들의 자립을 지원하고, 나아가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