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30일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장애인기업 수는 증가세를 보였지만, 매출 감소와 부채 부담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2023년 기준 장애인기업 수는 174,344개사로 2022년(164,660개사) 대비 5.9% 증가했다. 전체 종사자 수 역시 578,280명으로 6.1% 늘어났으며, 장애인 종사자 수도 183,861명으로 4.7% 증가했다. 하지만 장애인기업의 총매출액은 69조 7천억 원으로 2022년(75조 2천억 원) 대비 7.3%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6조 5,3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3% 줄었다.
장애인기업의 대부분은 소상공인이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소상공인은 160,569개사(92.1%)로, 전년 대비 7.96%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13,775개사(7.9%)로 13.56%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51,696개사, 29.7%)이 가장 많았고, 제조업(27,021개사, 15.5%), 숙박·음식점업(26,495개사, 15.2%)이 뒤를 이었다.
장애인기업 대표자의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가 69.1%(120,416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시각장애(10.3%), 청각장애(7.9%)가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장애 정도별로는 경증(4~6급) 장애인이 83.1%(144,837개사)를 차지해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장애인기업의 부채 현황이 포함됐다. 전체 기업 중 부채를 보유한 기업은 81,475개사(46.7%)로, 총 부채액은 31조 9천억 원에 달했다. 평균 부채금액은 1.8억 원으로, 소상공인은 1.1억 원, 중소기업은 10억 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장애인기업이 가장 희망하는 지원정책으로는 금융 지원(63.9%)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세제 지원(54.8%)과 판로 지원(37.7%)이 뒤를 이었다. 이는 장애인기업의 자금난과 매출 감소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점을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중기부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는 장애인기업의 현실을 담아낸 정책 나침반”이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기업의 성장 단계에 맞춘 맞춤형 지원정책을 강화해 자립기반을 확고히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