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는 지난 4월 28일, 2024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2024년 12월 말 기준)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 평균 3.21%로 전년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으며, 장애인 고용인원은 29만8,654명으로 1년 새 7,331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모두 고용률이 상승했다. 공공부문 고용률은 3.9%로 의무고용률 3.8%를 초과했으며, 민간부문은 전년 대비 0.04%포인트 오른 3.03%를 기록했다. 특히 1,000인 이상 대기업의 고용률이 전년 대비 0.09%포인트 증가해 전체 민간부문의 상승을 이끌었다. 민간부문 장애인 고용률은 법정 의무고용률(3.1%)에 한층 가까워지며, 의무고용제도 시행 이후 격차가 가장 좁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의 질적 개선도 눈에 띈다. 중증장애인 근로자 비중은 35.8%, 여성 장애인 근로자 비중은 28.7%로, 각각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5.92%로 가장 높은 장애인 고용률을 보였고, 이어 공공기관(4.05%), 중앙행정기관(3.36%), 헌법기관(2.83%), 교육청(2.52%) 순이었다. 다만 교원, 군무원 등 특정직 공무원의 비중이 큰 기관은 상대적으로 낮은 고용률을 보이며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권진호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민간기업이 장애인 고용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고용 컨설팅 확대와 자회사형 표준사업장 설립 규제 완화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정부 부문 역시 관계부처와 협력해 장애인 채용을 독려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장애인 고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