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상임공동대표 권달주, 이하 전장연)는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를 앞두고, 장애인의 이동권과 시민권 보장을 촉구하는 선전전을 예고하며 장애인 권리에 대한 각 정당 및 후보들의 책임 있는 응답을 요구했다.
전장연은 오는 5월 23일(금) 오후 5시, 제2차 대선후보자 토론회가 열리는 KBS홀 인근 광화문역에서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민주주의 실현’을 주제로 지하철 선전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날 토론회 주제가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인 만큼, 장애인 권리투쟁이 혐오와 낙인으로 왜곡되지 않도록 시민들에게 직접 호소하겠다는 방침이다.
전장연은 전국 규모의 장애인단체를 비롯해 시민사회, 노동, 인권, 문화예술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는 연대체로, 장애인의 기본권 보장과 차별 철폐를 위한 활동을 지속해왔다. 이들은 “장애인도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감옥 같은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갈 시민”이라며, “이동권 투쟁은 장애인의 시민적 권리를 위한 정당한 목소리”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장연은 제21대 대선 정책토론회 과정에서 나타난 각 정당의 입장을 짚었다. 지난 5월 2일 정책토론회에서 개혁신당은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를 두고 비판적인 입장을 내놨으며, 국민의힘은 ‘과잉 의사표시는 자제되어야 한다’며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전장연의 정책협약 요청에 응하며 일정 부분 연대 의사를 밝혔다. 민주당은 이미 정책협약식을 진행했으며, 민주노동당도 5월 23일 정책협약식을 예정하고 있다.
전장연은 “서울시는 2001년 오이도역 리프트 추락 참사 이후에도 여전히 사과하지 않았고, 2015년 ‘서울시 이동권 선언’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며, “이는 혐오 정치를 넘어서 정치의 책임 회피”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권이 갈라치기와 혐오가 아닌 책임정치로 응답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권영국 후보를 향해 전장연은 “장애인 권리에 대해 명확히 답하라”고 촉구했다.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할 수 있는 민주주의 실현 방안이 무엇인지 후보자들에게 직접 묻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선전전은 단순한 장애인 권리 요구를 넘어, 사회 갈등 해소와 통합을 위한 정당한 정치적 질문으로, 전장연은 시민들의 관심과 언론의 적극적인 취재를 요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