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장애인권리협약으로 살펴본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인권 현주소(3)여전히 남아있는 장애인 권리 실현의 과제 우리나라는 2008년 UN 장애인권리협약이 발효된 뒤 2022년 선택의정서가 비준될 때까지 14년동안 관련된 제도적, 정치적 […]
[카테고리:] 기획기사
[기획]UN 장애인권리협약 선택의정서 비준까지 14년, 한국 사회의 숙제
UN장애인권리협약으로 살펴본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인권 현주소(2)장애인의 권리 구제의 문을 여는 데 걸린 시간 우리나라는 2008년 12월 UN 장애인권리협약을 비준했지만, 동시에 채택된 선택의정서의 비준은 오랜 기간 […]
[기획]장애인 인권의 이정표, UN 장애인권리협약이란
UN장애인권리협약으로 살펴본 우리나라 장애인들의 인권 현주소(1)국제사회의 합의로 탄생한 보편적 권리장전 장애인의 권리는 더 이상 시혜나 보호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 권리라는 인식은 […]
[오피니언]우리 아이보다 하루만 더 살았으면…
발달장애인,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기대수명 격차를 줄이는 방법은…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들에게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자신들의 사후 홀로 남겨질 발달장애 자녀를 미리 안타까워하는 부모들의 […]
[기획]AI 복지·돌봄 혁신-장애인에 대한 논의도 함께
장애인 일자리의 새로운 패러다임(3)장애인에 대한 AI 복지, 돌봄 방안 필요 보건복지부는 지난 9월 10일 제2차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 회의를 열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복지·돌봄 혁신 […]
[기획]장애인의 일상생활이 사회적 가치로 이어질때
장애인 일자리의 새로운 패러다임(1)근로성에 대한 인식전환이 먼저 발달장애 아들을 둔 A씨는 몇 년 뒤 아이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를 걱정하고 있다. 지금은 학교가 있어 일과가 정해져 […]
마지막 퍼즐은 일하는 장애인!!!이재명 정부에 바란다.(9)
최저임금·의무고용 적용 제외 폐지제도화 위한 현실적 대안 모색 필요 장애인일자리 신문에서는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기 전에 제기된 장애인 단체등의 정책적 요구를 연달아 소개하고 있다. 오늘은 그 […]
마지막 퍼즐은 일하는 장애인!!!이재명 정부에 바란다.(8)
최중증 발달장애인 위한 ‘자기주도급여형 일자리’ 5만 개 확대 추진맞춤형 고용과 전문 지원으로 경제적 자립·사회 참여 기회 확대 기대 최중증 발달장애인의 열악한 고용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
중증장애인에게 일자리란?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장애인에게 근로성이란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활동을 포함해야… 지난 27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보건복지부 후원,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주최로 중증장애인 일자리 확대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발제를 맡은 한신대학교 재활상담학과 […]
마지막 퍼즐은 일하는 장애인!!!이재명 정부에 바란다.(7)
발달장애인 고용 확대 위해 표준사업장 시·군·구 2개 이상 설치 의무화 제안 전국장애인부모연대는 지난 대선을 앞두고 새 정부에게 바라는 장애인 정책을 제안했다. 발달장애인의 낮은 고용률 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