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가 중증장애인 1천 명 대상 7대 영역 실태조사 진행
SNS·AI 활용 경험 등 현대적 요소 포함, 맞춤형 정책 반영 목표

경기도와 경기복지재단, ㈜한국리서치는 오는 10월까지 도내 재가 중증장애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자립 욕구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재가 중증장애인은 병원이나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가정에서 생활하며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증장애인을 말한다.
조사 대상은 발달장애인(지적·자폐성), 지체, 뇌병변 장애인 중 장애 정도가 심한 이들이다.
이번 조사는 31개 시군 재가 중증장애인 1천 명에 대한 명단 확보에 따라 전문조사원이 방문해 진행하며, ▲일반현황 ▲장애현황 ▲운동 및 건강관리 ▲지역사회 자립 욕구 및 지원 ▲고용·소득보장 ▲일상생활·돌봄 ▲복지서비스 등 7대 영역을 조사한다. 또한 SNS·웹서비스 이용 현황, AI 활용 경험, 노후 대비 계획 등 정책 환경을 반영한 문항도 포함된다.
조사 결과는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심층 분석되며, 경기복지재단은 기존 연구자료와 비교·분석 후 12월 최종 결과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는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훈 경기도 복지국장은 “재가장애인의 자립생활 욕구를 정확히 파악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인 자립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 맞춘 맞춤형 지원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