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경찰청, 2024년 실종아동 등 연차보고서 국회 제출
전문 대응체계 강화 필요성 제기

실종된 장애인의 미발견율이 아동이나 치매환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 실종 대응에 있어 보다 전문적이고 세밀한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이 국회에 제출한 ‘2024년 실종아동등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실종신고는 총 4만9624건으로, 이 가운데 장애인 실종은 8430건에 달했다.
전체 미발견자는 121명으로 집계됐는데, 아동이 64명, 치매환자가 16명인 데 비해 장애인은 41명으로 나타났다. 미발견율 역시 장애인이 0.49%로, 아동(0.25%)이나 치매환자(0.1%)보다 두 배 가까이 높다.
복지부와 경찰청은 실종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무연고 아동과 가족 유전자 DB, 배회감지기 보급, 치매환자 인식표 지원, 지문·얼굴 사전등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대상의 맞춤형 정책은 여전히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윤수현 복지부 아동학대대응과장은 “연차보고서를 계기로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과 같은 취약 집단의 미발견율을 낮출 수 있는 대응체계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주승은 경찰청 청소년보호과장은 “사전등록과 실종경보문자 제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고, 현장의 미비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신속한 발견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