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맞춤 재활기술 민간 이전…사업화 성과 기대
노인·장애인 삶의 질 향상 기대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이 자체 연구·개발한 스마트 재활기기 기술을 민간에 이전했다.
국립재활원은 2025년 상반기 노인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의 신체 건강 기능 개선을 목표로 한 4종의 재활기기 기술에 대해 국내 4개 기업과 국가직무발명특허권 통상실시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이전된 기술은 ▲몸통 운동 보조 및 피드백 장치 ▲보행재활과 자세교정 보조 기능성 신발 ▲발목재활 운동장치 ▲운동능력평가척도 기반 맞춤형 재활운동 제공 시스템 등이다. 해당 기술은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의 내부 연구과제를 통해 개발됐다.
초기 시제품은 2023년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제30회 대한민국 산업기술 R&D 대전’에서 공개돼 업계의 주목을 받았고, 개선된 시제품은 오는 9월 4일부터 6일까지 부산에서 열리는 ‘2025 글로벌헬스케어위크’에서 전시된다.
강윤규 국립재활원장은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초고령사회에 발 빠르게 대응하여 자체 연구개발한 재활기술을 민간기업에 이전하는 것은 국가기관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앞으로도 실제적인 사업화 성과를 지속해서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호승희 재활연구소 소장은 “향후 민간기업 입장에서 재활연구소 연구개발 성과물의 기술이전 과정에 대한 편의제공을 강화하고 기술 수요 기업 발굴을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